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코드가 길어져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
이럴 경우 다른 파일에 생성해둔 코드를 import 하여 그 파일의 변수,함수 등등을 사용합니다.
재직중인 회사에서 사용하는 jsp에서는 <%@ include file ="/jsp/Header.jsp" %>이런식으로 태그를 사용했고 ,
자바스크립트도 마찬가지로 태그(<script src="주소"></script>)를 이용하여 import 했습니다.
React에서 사용하는 import,export와 개념자체는 비슷하지만 , 하나 다른 점은
현재 페이지 기준으로 , 불러올 페이지에서 export를 해줘야 한다는 점입니다.
data1이라는 변수를 App.js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ex) data.js를 App.js 로 import하기
export는 하단에 작성
let data1 = 10;
export default data1;
App.js
상단 부분에 작성
import data1 from './data.js';//data.js에서 import 해온 데이터
이제 data1을 App.js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위에는 export 할 데이터가 하나일 경우고 , 두개 이상은 문법이 조금 다릅니다.
하나일 경우 default를 사용하고 , 두개 이상일 경우 default를 제외하고 중괄호 안에 변수,함수등을 작성합니다.
let data1 = 10;
let data2 = 20;
export { data1,data2 };
export가 다르니 import도 다르겠죠 ?
import { data1,data2 } from './data.js';//data.js에서 import 해온 데이터
import도 중괄호 내에 작성하면 됩니다.
컴포넌트나 코드가 길어질 경우에 import,export를 사용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면
유지보수측면에서 조금 더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.
틀린내용이나 보충 및 지적사항 달게 듣겠습니다 !
감사합니다
'개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라우터 설치 및 사용법 (0) | 2023.08.22 |
---|---|
[React] styled-components (0) | 2023.08.16 |
[React] map함수, props (0) | 2023.08.10 |
[Bootstrap] 간단한 사용 방법(React) (0) | 2023.08.09 |
[React] 공부시작 (0) | 2023.08.03 |